폐암 환자에게 불소가 좋지 않다는 글을 잠깐 보고..
사실인가 ? 뭐 불소 치약, 수돗물, 기타 생수에 불소 함유량만 확인하면 되지만..
궁금해서 검색해 봤다. 전문지식이 없는 내가 이야기 한다고 해서 믿을 사람은 없으니..
http://citeseerx.ist.psu.edu/viewdoc/download?doi=10.1.1.603.7707&rep=rep1&type=pdf
핵의학적 세포증식 영상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여 정 석
실제적으로 FLT는 DNA합성자체를 나타내지는 않 지만 세포증식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보고들이 많이 있 다.
Toyohara등은 2002년에 22개의 종양세포주를 대상으로 [ 3 H]FLT의 세포섭취를 세포분열정도를 반영하는 지표인 %S-phase fraction과 [3 H]thymidine 섭취와 비교하여서 [ 3 H]FLT 섭취가 %S-phase fraction과 r=0.76, p<0.0001의 상 관관계를 보였고 [3 H]과는 r=0.88, p<0.0001의 상관관계를 보 임을 보고하였다.
세포 내에서 FLT가 섭취되는 부위는 95%가 acid-soluble fraction에 있어 대부분이 세포질 내에 있음이 알려 졌다. 이는 FLT는 세포내에 들어가서 체세포내 TK1의 활성도 에 비례하여 섭취되지만 직접 DNA합성에 참여하지는 않는다 는 것을 의미한다.
즉 FLT 섭취가 DNA합성에 사용되는 분율 은 0.2%에 불과하지만 90%이상이 DNA합성에 사용되는 [ 3 H]thymidine섭취와 비교하였을때 매우 높은 일치도를 보임 이 증명되었다.32)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1998년 Anthony등이 Nature에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영상을 처음 보고한 이후 비교적 많은 수 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는 Andreas 등이 30명의 폐종 양환자 (22명의 암, 8명의 양성종양)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 다.33) 그들은 세포분열 정도를 Ki-67 immunostaining으로 측정 하였고,
이를 [18F]FLT PET의 SUV와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하여 r=0.87, p<0.0001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고하였 다. 이후 보고들에서 대장암, 폐암등에서 FLT SUV는 Ki-67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져서 0.92에서 0.84정도의 상관도를 보 이고 있다.
34,35) [ 18F]FLT 섭취는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종양의 등급도와도 상관관계가 있어 세포분화도가 나쁜 종양에서 섭취가 높고 세 포분화도가 낮은 종양에서는 섭취가 낮다(Fig. 4). 뇌종양에서 F-18 FLT는 배경섭취가 없고 종양의 세포증식 도와 비례하여 섭취가 되기 때문에 종양의 발견과 예후예측에 도움이 된다(Fig. 5).
– 세포분화도가 나쁜종양 ( 암세포분열이 빠른) 섭취가 높고, 세포분화도가 낮은(암세포분열이 늦은) 종양에서 섭취가 낮다. 이렇게 해석하면 되는건지 ?
머리도 안좋은데 PDF화일을 몇 번이나 봤다. 적당한 전문자료가 전무해서.. 암튼 불소 피해야겠다.
18F = 불소
[ flourine-18 , 18F , 弗素~18 ]
불소의 방사성동위원소(放射性同位元素), 원자번호9, 질량수18, 양전자(β+)괴변(97%) 혹은 궤도전자포획(軌道電子捕獲)(EC)(3%)에 의해 18O(안정)로 변한다. 반감기 109.7분, 양전자(635keV) 및 그 소멸방사선(消滅放射線)(510keV)을 방사한다. 사이클로트론에서 18O(p, n) 18F반응 등에 의해 제조된다.
– 첨가 –
와이프에게 하루에 1.5L 하나씩 마시라고.. 바로옆 편의점에서 6개들이 삼다수
팔고 있으니 일주일에 한번씩 사오면 그만..